2024.05.10 (금)

  • 맑음동두천 12.3℃
  • 맑음강릉 20.7℃
  • 박무서울 13.1℃
  • 맑음대전 12.1℃
  • 맑음대구 13.2℃
  • 맑음울산 16.2℃
  • 맑음광주 11.6℃
  • 맑음부산 17.9℃
  • 맑음고창 9.6℃
  • 맑음제주 13.6℃
  • 맑음강화 12.8℃
  • 맑음보은 9.2℃
  • 맑음금산 8.8℃
  • 맑음강진군 10.8℃
  • 맑음경주시 11.8℃
  • 맑음거제 14.0℃
기상청 제공
메뉴

한국의 전통춤 여섯번째 이야기, ‘승무’

 

‘승무’는 춤꾼들이 가장 많이 추고 또 배우고 싶어 하는 춤이라고 한다. 한국의 전통춤 중 가장 품위 있는 작품으로 춤가락과 반주 음악의 다양성, 무복과 공간의 조화미로 인해 예술성까지 겸비한 춤으로 인식되어 있고, 기본 춤사위나 구성에서 한국 춤의 기본 틀과 대표적인 춤사위가 응집돼 학문적 가치도 높기 때문이다.

 

승무의 춤사위는 물 흐르듯이 끊김이 없이 이어지고, 그 내용은 탄생부터 해탈까지의 인생사를 담고 있다. 승무는 우리나라 전통춤의 대표격으로서 1969년 7월 4일 국가무형문화재 제27호로 지정되어 전승되고 있다.

 

[승무의 유래]

승무라는 명칭에서 불교의 색채를 느낄 수 있지만, 그 유래로는 불교설 이외에 여러가지 재미있는 기원설이 있다.민속무용 유래설은 지족선사를 파계시킨 황진이 무용설로 조선왕조 때 황진이가 수도승 지족선사를 파계시킬 목적으로 세모시 장삼에 한모시 고깔을 쓰고 다홍장삼을 멘 승복차림으로 교태로운 춤을 춰 끝내 지족선사를 파계시켰다는 설이 있고, 어느 파계승이 백팔번뇌를 잊으려고 북을 두드리며 추기 시작한 춤이 승무의 기원이 되었다는 설과, 육관대사의 제자 성진이 길 가던 도중에 8선녀가 노니는 광경을 보고 사내의 괴로운 욕정을 광대 무량한 불법에 귀의하므로 법열과 해탈의 경지에 다다를 수 있다는 내용을 춤으로 표현했다는 설이 있다.

 

하지만, 가장 유력한 설은 불교의식 무용 중 ‘법고’춤에서 유래했다는 설이다. 승려 차림을 닮은 무복도 불교 기원설에 무게를 두게 한다.

 

[승무의 구성]

승무의 구성은 크게 염불과장, 타령과장, 굿거리과장, 법고-당악 과장, 느린 굿거리과장으로 되어 있으며 각 과장에서 곧바로 장단변화를 주지는 않고 넘김채의 역할을 하는 잦은장단이 들어가 자연스러운 가락 변화(變化)의 예고(豫告)와 속도 변화의 완충적(緩衝的) 역할을 한다.

(*과장이란 장면을 뜻한다)

 

①염불과장

우주의 탄생과 생명의 씨앗이 잉태되어 태어나는 시작을 알리는 과장. 진중한 무게를 느끼며 긴 호흡을 내부 깊은 곳으로부터 끌어내어 그 기운이 무한으로 뻗어나가고 멋이 짙게 깔려있는 승무의 대표적인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넘김채: 도드리 장단: 타령과장으로 넘어가는 타령과 염불의 연결 과장

 

② 타령과장

경쾌한 리듬에 맞춰 춤을 추며 노동의 시작을 알리는 장면이다. 직선적인 춤사위를 이루고 있고, 이를 통해 외향적인 활달함을 표현하는 도약(塗藥)과 미약(媚藥)의 춤사위를 이루고 있다.

 

③ 굿거리과장

굿거리 과장에서는 생로병사, 희로애락 등 살아가면서 느끼는 다양한 감정을 표현한다. 타령장단과 비슷한 4박으로 이루어져 있고 기교와 묘미(妙味)가 춤의 멋을 한층 더 돋보이게 하는 섬세함을 보여주는데 타령과장과 비슷해 보이지만 이 굿거리에서는 좀 더 빠른 리듬에 기교를 부드러우면서 둥글게 표현하고 있다.

 

 

④ 북(법고)가락과 당악과장

 춤꾼이 직접 북채로 북을 치며 당악으로 이어 나간다. 춤은 빠르고 경쾌한 발의 움직임이 섬세하고, 날렵하여 북 치는 과장에서 그 기운이 이어져 절정에 이르는 장이다.

 

⑤ 느린 굿거리 과장

 모든 춤을 마무리 짓는 부분으로 앞선 과장의 경쾌하고 시원한 부분을 털어 버린 듯 하고 북을 치던 손을 다시 장삼자락에 넣어 춤을 추게 되는데 이때에는 완만한 정리의 단계 성격을 갖고 크고 많은 움직임은 없다. 북 소리가 멈춰지면서 느린 굿거리 장단에 맞추어 감정을 가라앉히고 춤이 끝나면 두 손을 합장하고 앞을 보며 끝낸다.

 

 

[승무 음악 대풍류, 삼현육각]

 대풍류는 음악으로 감상하였을 때, 사용하는 용어이다.삼현육각이라 함은 한국 전통음악의 악기 편성법으로 향피리2, 젓대(대금), 해금, 북(좌고), 장구를 사용하는데, 주로 무용 반주를 삼현육각이라 한다. 

 

 

조선시대의 화가 김홍도의 그림 ‘무동’은 이러한 삼현육각의 악기 편성을 잘 보여주는 자료이다.그림의 왼쪽 위를 보면 벙거지를 쓰고 매달아 놓은 북을 치고 있는 사내가 있다. 좌고를 치는 중이다. 그 오른쪽의 갓을 쓴 사내는 장구를 치고 있고, 또 그 오른쪽의 사내 둘은 피리를 붙고 있다.

 

[참고문헌]

-송준호 ‘다시 만난 전통춤 ‘고깔 아래서 피어나는 나비의 춤 승무’ 국악누리 2020

-손영미 “승무 춤사위에 내재된 공간 구성미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 예술대학원, 2004

-이정아. "한영숙 승무의 춤사위 구조적 특성에 관한 고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이병옥,「한영숙류와 이매방류 승무 비교연구」, 노리 출판사.2003

-성경린,「한국전통무용」, 일지사.1979

 

 

지금까지 전통춤 이야기를 써오면서, 직접 추어보지도 체험하지도 못한 춤은 승무가 처음이다. ‘승무’의 예술성과 중요도를 생각하면 훨씬 앞부분에 나왔어야 했지만, 경험하지 못한 춤이라 선뜻 글을 쓴다는 것이 부담이 됐던 것 같다.

필자에게 ‘승무’는 ‘춘앵전’을 처음 봤을 때 그랬듯이(법고 북가락이 나오기 전까지는) 약간은 지루함을 느끼며 봤던 춤이었다. 하지만 이번 칼럼을 쓰게 되면서 조금은 승무의 예술성과 기품 있는 춤사위를 알게 되었고, 어느새 추어보고 싶은 춤이 되었다.

 

 

윤지현.jpg

 

[필자소개]

산업디자인을 전공하고 오랜시간 디자이너와 디렉터로 활동했다.

한국 전통춤은 늦은 나이에 접했지만, 많은 명무 선생님들의 춤을 보고 또 직접 배우면서

한국인의 한/멋/흥을 담고 있는 매력적인 한국 전통춤을 널리 알리고 싶은 마음에 칼럼을

쓰고 있다.







수원 / 안산 / 지역소식

더보기


연예

더보기

문화

더보기
광명장애인종합복지관, 장애인의 날 주간행사 ‘모아모아 페스티벌 ’성료
시즌데일리 = 정영한 기자ㅣ광명장애인종합복지관은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한 장애인의 날 주간행사, ‘모이면 더 아름다운 세상, 모아모아 페스티벌’를 성황리에 마쳤다고 밝혔다. ‘모아모아 페스티벌’은 장애인의 날(4/20, 토)가 있는 4월 셋째 주, 주간 행사로 진행되었다. 장애인과 그 가족의 사회참여와 시민들의 자연스러운 행사 참여로 장애를 바로 알고 장애-비장애를 잇는 화합의 기틀을 마련하고자 하는 행사이다. 이번 행사는 광명중앙라이온스클럽의 지원으로 걷기행사가 진행되며, 화영운수의 지원으로 광명시 전역에 홍보를 진행하여 더 많은 시민들이 함께할 수 있었다. 또한, 유림, 밴드골드, 채선당플러스(철산역점), 동광명로타리클럽, 소들녘(광명점)의 지원으로 푸짐한 상품도 준비됐으며, 제 2회 커피페스티벌은 광명로터리클럽의 지원으로 여러가지 체험을 할 수 있도록 준비됐다. ▲기념식 ▲걷기행사 ▲도전광장복골든벨 ▲장애인가족 장기자랑 경연대회 ‘패밀리전당’ ▲체험부스 ▲에어바운스 ▲제2회 커피페스티벌 ▲복지관투어 ‘광장복 가보자go~!’ ▲S.N.S장애이해 캠페인 ▲먹거리부스 등으로 구성되었다. 비가 오는 날이었지만 목감천을 알록달록 우산으로 물들인 지역주민 약 300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