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SPI : 지난주 2,954pt에서 32pt(-1.1%) 내린 2,922pt로 마무리했습니다.
주봉상으로 하방 압력이 지속 작용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일봉상으로는 대세 하방에는 변함이 없고, 일시적으로 상승 흐름이 보였으나 곧 수 그러 들것으로 보입니다.
S&P 500 : 지난주 4,677pt에서 14pt(-0.3%) 내린 4,663pt로 마무리했습니다.
주봉상으로 완만하게 하방을 잡고 있습니다.
일봉상으로는 4,600pt 부근에서 지지를 받으며 대세 상승을 이어왔으나, 최근 지속 작용하는 하방 압력의 영향력이 커지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상해종합 : 지난주 3,579pt에서 35pt(-1.0%) 내린 3,544pt로 마무리했습니다.
주봉상으로 3,400pt 부근에서 지속적으로 지지를 받으며 박스권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일봉상으로는 하방 압력이 강하게 작용하고 있는 상황으로 다시 지지를 받을 수 있을지 지켜봐야겠습니다.
※ 세계 뉴스
코로나19
한국에서도 최근 '오미크론 변이'가 우세종으로 발전해가며 확진자 폭증을 경고하고 있다.
미국의 확진자는 6,666(+571) 만 명, 사망자는 87.3(+1.4) 만 명을 넘었다.
인도의 확진자는 3,712(+160) 만 명, 사망자는 48.6(+0.3) 만 명을 넘었다
브라질의 확진자는 2,297(+48) 만 명, 사망자는 62.1(+0.2) 만 명을 넘었다.
한국의 최근 일주일 신규 확진자는 일 평균 3,971명을 기록하며 지난주 대비 300명가량 상승했다.

인플레이션 : 미국의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도 7% 초반을 기록할 것이라는 전망
미연방준비제도(Fed)가 올해 4차례의 금리 인상을 단행할 것이라는 전망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1%에서 1.25%로 인상하며 금리를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돌려놨다.
테이퍼링 : 월 300억 달러 규모의 테이퍼링(자산매입축소)가 오는 3월 마감을 앞두고 있다.
미 연준은 테이퍼링이 종료되는 시점부터 금리 인상을 시사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 미국과 러시아 사이 안보 협상이 있은 후 하루 만에 러시아가 군사 훈련에 나섰다.
· · · · ·
S&P 500 변동성 지수(VIX) : 변동성 지수는 19.2로 주간 상승하였습니다.
유가(WTI 유 선물) : 서부 텍사스산 원유 22년 2월분 가격은 84.3$로 상승 마감하였습니다.
원/달러 환율 - 1$ = 1,19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