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SPI : 지난주 3,140pt에서 15pt(-0.5%) 내린 3,125pt로 마무리했습니다.
주봉상으로 상승세가 한풀 꺾이며 3,050pt에서 다시 지지를 받을 수 있을지 지켜봐야겠습니다.
일봉상으로도 상승세가 꺾이며 하방 압력이 지속 작용할지 지켜봐야겠습니다.
S&P 500 : 지난주 4,433에서 22pt(+0.5%) 오른 4,455pt로 마무리했습니다.
주봉상으로 하방 압력을 받으며 과매도 구간을 향해 가고 있는 모습입니다.
일봉상으로는 과매도 구간에서 상승 반전하며 다시 상승 흐름을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상해종합 : 지난주 3,614pt에서 1pt(-0.0%) 내린 3,613pt로 마무리했습니다.
주봉상으로 과매수 구간에 진입했다가 바로 하락 반전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일봉상으로는 최근의 급격한 하락세가 잠시 진정된 모습으로 상승세를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세계 뉴스
코로나19
미 보건당국이 코로나19 백신 부스터 샷 접종 대상을 확정하며 부스터 샷 접종 계획을 확정 지었다.
미국의 확진자는 4,372(+86) 만 명, 사망자는 70.6(+1.5) 만 명을 넘었다.
인도의 확진자는 3,365(+20) 만 명, 사망자는 44.6(+0.2) 만 명을 넘었다
브라질의 확진자는 2,134(+11) 만 명, 사망자는 59.4(+0.4) 만 명을 넘었다.
한국의 신규 확진자는 추석 연휴 이후 급증해 3천 명을 바로 넘었고, 최근에는 2천 명대 후반을 기록하고 있다.

인플레이션 :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최근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다.
테이퍼링 : 이번 FOMC 정례 회의에서 연방준비제도(FED, 연준)는 '경기회복이 지속된다면 테이퍼링에 나설 수 있음'을 시사했다.
중국 헝다그룹 : 중국의 거대 부동산 업체인 헝다그룹의 달러채권에 대한 디폴트(채무불이행) 우려가 번지며 세계 증시가 출렁였다. 그리고 23일 만기도래한 일부 채권에 대한 이자를 지급하면서 한고비를 넘겼다.
미-중 갈등 : 멍완저우 화웨이 부회장이 풀려나며, 중국에 억류됐던 캐나다인 2명도 풀려나 고국으로 돌아갔다.
· · · · ·
S&P 500 변동성 지수 : 변동성 지수는 19.8로 주간 하락하였습니다.
유가 (WTI 유) : 서부 텍사스산 원유 21년 11월분 가격은 73.9$으로 상승하였습니다.
원/달러 환율 - 1$ = 1,179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