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SPI : 지난주 2,968pt에서 42pt(+1.4%) 오른 3,010pt로 마무리했습니다.
주봉상으로 바닥을 다진 후, 상승 반전하여 방향을 잡아가고 있습니다.
일봉상으로는 과매수 구간 부근에서 움직임을 보이며 상승 에너지를 받고 있습니다.
S&P 500 : 지난주 4,538pt에서 174pt(+3.6%) 오른 4,712pt로 마무리했습니다.
주봉상으로 과매수 구간에서 하락 반전하는 모습이나, 장 막판에 급격한 상승과 함께 반전을 주는 모습입니다.
일봉상으로는 과매수 구간에 진임과 동시에 지속적인 상승 에너지를 받을 수 있는 위치까지 올라온 모습입니다.
상해종합 : 지난주 3,607pt에서 59pt(+1.6%) 오른 3,666pt로 마무리했습니다.
주봉상으로 상승세와 함께 과매수 구간 진입을 앞두고 있는 모습입니다.
일봉상으로는 지속적인 상승 에너지와 함께 과매수 구간에 진입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 세계 뉴스
코로나19
기존 백신이 코로나19의 새로운 변이인 '오미크론'에는 예방 효과가 떨어지나, 추가 접종인 '부스터 샷'을 접종하면 예방 효과가 급상승한다고 이스라엘의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의 확진자는 5,076(+83) 만 명, 사망자는 81.7(+0.9) 만 명을 넘었다.
인도의 확진자는 3,469(+6) 만 명, 사망자는 47.5(+0.5) 만 명을 넘었다
브라질의 확진자는 2,218(+5) 만 명, 사망자는 61.6(+0.1) 만 명을 넘었다.
한국의 신규 확진자는 최근 7천 명대를 돌파해서 그 부근을 기록하고 있다.
+ 확진자는 수도권을 중심으로 빠르게 증가하며 서울, 경기, 인천을 합해 70%를 넘어섰다.

인플레이션 : 지난 10일(현지시각) 발표된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월 대비 6.8%나 급등했다.
테이퍼링 : 인플레 압력 속에 연준(Fed)이 금리 인상 시기를 앞당기며 테이퍼링이 가속화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접경지대에 10만 명의 병력을 포함한 무력을 배치한 러시아가 곧 우크라이나를 침공할 것이라는 우려가 쏟아지며,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 미국을 중심으로 한 나토(NATO) 그룹과 러시아가 대립하고 있다는 소식
중국 헝다 파산 : 중국 헝다그룹이 디폴트(채무불이행)에 따라 파산과 함께 중국 경제에 타격을 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 · · · ·
S&P 500 변동성 지수(VIX) : 변동성 지수는 18.7로 주간 큰 폭으로 하락하였습니다.
유가(WTI 유 선물) : 서부 텍사스산 원유 22년 1월분 가격은 71.7$로 상승 마감하였습니다.
원/달러 환율 - 1$ = 1,18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