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즌데일리 강성혁기자] 조성된 지 20년이 넘은 수원시내 도시공원들의 노후도를 평가하는 기준을 세우고, 이에 따라 등급을 판정해 종합적인 관리기본계획과 재생방안을 제시해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수원시는 29일 수원시공원녹지사업소 중회의실에서 ‘수원시 노후도시공원 재생방안 연구’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
수원시정연구원이 수행한 이번 연구는 지난해 9월부터 5개월간 수원시 노후도시공원의 현황을 진단하는 기준을 마련하고 장안구 노후도시공원 사례를 활용해 도시공원의 효율적인 관리방안과 재생방안을 제시했다.
연구 결과, 수원시에는 지난해 10월 말 기준 소공원 30개소, 어린이공원 203개소, 근린공원 72개소 등 생활권공원과 역사공원 1개소, 문화공원 6개소, 수변공원 11개소, 체육공원 2개소 등 주제공원이 있다.
도시공원은 개소 기준으로는 어린이 공원이 62% 이상이며, 면적 기준으로는 근린공원이 84% 이상을 차지했다.
도시공원의 조성시기는 1995~1999년과 2007~2008년 집중됐는데, 택지개발사업 추진 과정에서 조성된 공원이 많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연구에서는 이 같은 현황을 바탕으로 노후도시공원 진단 평가방식을 구체화했다. 조성년도 20년 이상의 도시공원을 평가 대상으로 전제하고, 생태와 시설물의 노후도를 평가하는 기능성 평가와 민원 등을 체계화한 만족도 평가, 주변 인구와 타 시설 여부 등에 따른 공원 서비스 평가까지 제안했다.
이렇게 만들어진 체크리스트는 장안구 노후도시공원에 시범평가로 적용, 공원의 노후도를 ▲일반관리(노후시설들이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는 단계) ▲관리강화(시설물 교체 등 일부 보수가 필요한 관리대상이 발견된 경우) ▲부분재생(공간구조 개선 등이 필요한 경우) ▲전체재생(전반적 기능이 저하돼 공원 전체 리모델링이 필요한 경우) 등 4단계로 구분했다.
뿐만 아니라 노후도시공원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 기초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수집하고 분석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나왔다.
각 개별시설에 대한 이력, 도면 등의 기초 데이터를 정리하려면 데이터를 수집할 근거 및 시스템 구축이 필요한 만큼 ‘수원시 공원관리기본계획’을 도입해 공원 관리의 방향을 제시하고, 노후도시공원에 대한 대응 방안을 구축해야 한다는 것이다.
최광열 수원시 공원녹지사업소장은 “이번 연구를 통해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관리되는 공원 제공을 장려하고 노후공원의 정비체계를 마련해 시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